임상심리사 2급 실기 하루에 5문제 11
1. 집단상담의 장점 및 제한점을 각각 3가지씩 쓰시오.
1)장점
(1)시간, 비용면에서 경제적이다.
(2)비난이나 처벌에 대한 두려움없이 새로운 행동을 현실검증해볼 기회가 된다.
(3)개인상담보다 풍부한 학습경험을 얻을 수 있다.
(4)동료참여자들과 지냄으로써 소속감과 동료의식을 느낄 수 있다.
2)단점
(1)집단장면에서 비밀보장의 한계가 있다.
(2)집단상담이 너무나 수용적이라서 오히려 현실도피의 기회가 될 수 있다.
(3)집단 내 구성원으로 하여금 집단의 기대치에 부응해야한다는 지나친 압박을 느낄 수 있다.
(4)상담자가 집단성원 개개인에 집중하는데 한계가 있다.
2. 다음 보기의 사례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.
[내담자: 제가 꿈을 꾸었는데 돼지를 죽였어요. 근데 알고보니 돼지가 아니라 형이었어요.]
보기의 내담자가 이야기한 꿈의 내용을 듣고 상담자가 제시해야 할 적절한 반응을 반영, 직면, 해석의 기법으로 표현하시오.
1)반영: "당신은 지난 밤 꿈으로 인하여 굉장히 놀랐겠습니다."
2)직면: "그 꿈의 결말은 결국 형을 찔렀다는 것인데, 그것은 당신이 형을 평소 미워했다는 것은 아닌가요?"
3)해석: "돼지가 힘이 세고 튼튼했다는 것은 아마도 당신이 형에 대해 평소 가지고 있었던 열등감일 수 있습니다. 혹시
형에 대한 그 열등감이 이와 같은 꿈으로 드러난 것은 아닐까 추측해봅니다."
3. 상담의 종결 단계에서는 우선적으로 지난 상담 내용에 대한 점검이 이루어진다. 상담자와 내담자가 지난 상담 과정을 되돌아보면서 평가하여야 할 사항을 4가지 쓰시오.
1)내담자에게 상담에서 무엇을 배웠고 무엇이 변화되었는가를 묻고 이를 평가한다.
2)내담자가 초기에 언급했던 상담목표 및 상담에 대한 기대가 얼마나 달성되었는지를 확인한다.
3)상담 목표를 중심으로 내담자의 실생활에서 어떤 긍정적 변화가 일어났는지를 확인한다.
4)긍정적 변화에 대해 내담자가 기여한 요인이 어떤 것이 있을지 내담자 스스로 확인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.
4. 자문의 정신건강 모델과 행동주의 모델의 차이점을 설명하시오.
1)정신건강모델: 정신건강모델은 기본적으로 피자문가에게 문제해결능력이 있다고 가정한다. 자문가와 피자문가 사이의 관계가 평등하며, 자문가는 촉진가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.
2)행동주의모델: 행동주의모델에서 자문가는 학습이론에 대해 가르치는 전문가다. 자문가와 피자문가 사이에는 보다 분명한 역할이 있으며, 그 사이에 커다란 불균형이 있다.